네트워크 용어 사전

Network 잘알이 되기 위한 노력

1. STP (Spanning Tree Protocol)

  • SwitchBridge 에서 발생하는 looping 을 막기 위한 protocol

  • Switch나 Bridge 구성에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경로가 두 개 이상 존재하면, 한 개의 경로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끊어두었다가 사용하던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면 그 때 끊어두었던 경로를 하나씩 살린다

2. Spine-leaf architecture

  • spineleaf라는 2개의 switching 계층으로 구성

    • leaf 계층은 server에서 나오는 traffic을 집계한다

    • spine 또는 network core로 직접 연결하는 access switch로 구성되어 있다

    • spine switch는 모든 leaf switch를 연결한다

    • leaf swtichrack에 장착되어 해당 rack의 server 통신을 책임진다

  • server 간 통신이 늘어나는 최근 traffic 경향을 지원하기 위해 제안됨

3. ToR (Top of Rack)

  • server들이 설치되어 있는 server rack 상단에 배치되어 있는 switch

  • 해당 rack에 설치된 server들에 대한 traffic을 수용하기 위해 배치된 switch

4. packet

  • package와 bucket의 합성어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기 쉽도록 자른 data의 묶음 단위

    • 한 번에 전송할 data의 크기를 나타낸다

  • packet은 header, data, trailer로 이루어져 있다

    • header에는 수신처의 internet address순서 등이 기록되어 있다

    • trailer에는 error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

  • 일반적으로 34 계층의 data 단위를 packet이라고 정의하고, 12 계층의 data 단위를 frame이라고 지칭한다

5. NIC (Network Interface Card)

  • PC나 server에서 network를 연결해주는 cardinterface를 뜻한다

  • NIC를 지칭하는 단어들은 아래와 같다 (다양하다..)

    • Network Interface Controller

    • Network Card

    • 랜 카드 (Lan Card)

      • 과거에 Ethernet은 LAN(Local Area Network) 에서만 사용되다 보니 Network Interface Card를 Lan Card라고 부르게 되었다!

    • 물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(Physical Network Interface)

      • 물리적으로 컴퓨터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해주는 중간 지점이라는 의미가 강하다

      • 보통 이 용어를 사용할 경우 NIC를 1계층 (Physical Layer) 구성요소로 오해할 수 있지만, NIC는 2계층 (Data Link Layer) 구성요소이다!

    • Ethernet Card

      • 대부분의 network가 Ethernet으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적인 network 연결 시 Ethernet을 연결하는 NIC가 사용되엇고, Ethernet Card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

    • Network Adaptor

6. Sequence Number

  • 4계층에서 packet을 분할할 때 packet header에 보내는 순서를 명시한 것이 Sequence Number이다

  • seq 또는 순서 번호라고도 부른다

7. ACK(Acknowledgement) Number

  • 4계층에서 packet을 분할할 때 packet hearder에 받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 ACK Number이다

  • ack number 또는 응답 번호라고도 부른다

8. MSS (Maximum Segment Size)

  • application에서 data를 만들어 보낼 때 data flow layer에서 network 상황에 맞게 data를 잘 쪼개 상대방에게 전달한다

    • network에서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역산정해 data가 4계층으로 내려올 때 적절한 크기로 쪼개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이 값을 MSS (Maximum Segment Size) 라고 부른다

  • MSS는 4계층에서 가질 수 있는 최대 data 값이다

9. MTU (Maximum Transmission Unit)

  • network에서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data의 크기를 MTU (Maximum Transmission Unit)이라고 부른다

    • 일반적인 Ethernet에서 수용할 수 있는 크기는 1,500 byte 이다

  • MTU는 2계층에서 가질 수 있는 최대 data 값이다

    • 2계층에서는 2계층 header들의 크기를 제외한 data의 크기를 MTU 크기라고 부른다

  • 3계층의 IP header와 4계층의 TCP header의 표준 header 크기는 각각 20 byte이므로, 일반 Ethernet의 경우 MSS 값을 1,460 byte로 사용한다

    MTU (1,500 byte) = IP header (20 byte) + TCP header (20 byte) + MSS (1,460 byte)

10. PDU (Protocol Data Unit)

  • 각 계층에서 header와 data를 합친 부분PDU 라고 부른다

  • PDU를 부르는 이름은 Layer마다 다르다

    • Layer 1 (Physical Layer): 비트 (Bits)

    • Layer 2 (Data Link Layer): 프레임 (Frame)

    • Layer 3 (Network Layer): 패킷 (Packet)

    • Layer 4 (Transport Layer): 세그먼트 (Segment)

    • Layer 5 (Session Layer): 데이터 (Data)

    • Layer 6 (Presentation Layer): 데이터 (Data)

    • Layer 7 (Applcation Layer): 데이터 (Data)

11. BPDU (Bridge Protocol Data Unit)

  • Switch (Bridge) 간 정보 교환을 위한 frame data

    • Network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network loop를 방지하기 위한 STP (Spanning Tree Protocol)의 data가 된다

  • STP가 loop free leaf topology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된다

  • Switch (Bridge) 가 booting하면 각가의 port로 BPDU를 매 2초마다 내보내면서 서로의 STP 정보를 주고받게 된다

    • 즉, Bridge는 BPDU를 서로 주고받으면서 누가 root bridge이고 어떤 port가 root port이고, 어떤 port가 designated port (지정 port)가 될지를 결정하게 된다

12. SSL (Secure Socet Layer)

  • Network의 통신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암호 규약

  • Internet과 같은 TCP/IP network를 사용하는 통신에 적용된다

  • 통신 과정에서 Transport Layer (L4) 종단 간 보안무결성을 확보해준다

  • HTTP, FTP, TELNET 등과 같은 protocol에 SSL과 같은 보안 protocol을 결합하여 HTTPS, SFTP, SSH 등과 같은 protocol로 사용한다

13. TLS (Transport Layer Security)

  • SSL의 upgraded version

  • TLS를 사용해 암호화된 연결을 하는 HTTP를 HTTPS(secure)라고 한다

    • 기본 port로는 80이 아닌 443을 사용한다

  • TLS와 HTTPS

  • TLS

    • 다양한 종류의 보안 통신을 위한 protocol

    • HTTP 뿐만 아니라 FTP, SMTP와 같은 protocol까지 포함한다

  • HTTPS

    • TLS위에 HTTP protocol을 얹어 보안된 HTTP 통신을 하는 protocol

    • TLS와 HTTP가 조합된 protocol만을 가리킨다

14. SSID (Service Set Identifier)

  • IEEE 802.11 무선 네트워킹 표준으로 연결할 service set (Network)를 알려주는 식별자

    • Wifi module을 통해 Internet을 사용할 때 표시된다

    • 하나의 무선 LAN을 다른 무선 LAN과 구별해주는 ID 역할을 한다

  • 고유한 이름으로 설계되어 해당 지역의 Wifi network 중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

  • 생성 규칙

    • 최대 32자까지 사용 가능 (32 bytes)

    • 대소문자 구분

    • 일부 특수 문자도 사용할 수 있다

      • ?, ", $, [, , ], and +.

    • 아래의 문자는 맨 처음에 올 수 없다

      • !, #, and ;

Last updated